본문 바로가기

LIFE/BOOK

메타사고

내용 정리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51905898620?cat_id=50005622&frm=PBOKPRO&query=%EB%A9%94%ED%83%80%EC%82%AC%EA%B3%A0&NaPm=ct%3Dm6xb5q8o%7Cci%3D9f70059a9db01a5c41bd804a8d2a3c0ed279d7e8%7Ctr%3Dboknx%7Csn%3D95694%7Chk%3D4f93aa21b6d01103a2f8f94b7c5b0780dc9ff352

 

메타사고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자신의 인생을 원하는 대로 설계하라

  • 목적: 메타인지력을 육성해서 자신의 일과 삶을 가꿀 수 있는 실천적인 방법
  • 목표: 삶의 여유

→ 고정된 하나의 가치관에 얽매이기보다는 스스로 흥미를 느끼는 일을 추구할 수 있다. 그렇게 한결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게 된다.

  • 메타인지를 활용하는 사람은 스스로 과제를 찾아내고 자기의 방식으로 해결한다.

1장. 발상력

기존의 공식이 깨질 때 자신만의 규칙을 세워라

p.24 인생 전반을 놓고 보면 회사 안의 직위나 평가 등은 지극히 사소한 이야기이다. 인생을 개선하고 싶은데 굳이 회사라는 장소에만 국한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을까.

p.27 혼자서만 즐길 수 있는 규칙을 떠올리기

  • 모든 곳에서 배울 수 있을 점을 생각하기

p.33 성공 경험이라는 함정

  • ‘이번 일은 잘 해결됐다’ 라는 생각이 든다면 이는 한 번의 승리를 거두었다는 뜻이다. 이제부터 할 일은 게임의 종목을 바꾸거나 새로운 무대로 옮겨 가는 것이다. 남은 미련은 깨끗이 털어내고 새로운 일로 나아간다.
  • 챔피언 타이틀에 집착하지 않을 때 우리는 훨씬 자유롭게 다양한 승리를 할 수 있다. 혹시 과거의 성공 경험이 지금 당신의 발목을 잡고 있지 않은가? 이제는 내려놓아 보자.

2장. 관찰력

정답을 거부할 때 비로소 보이는 가능성

p.49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자신의 일을 정의하고, 스스로 동기를 부여해 나가야 한다. 더 다양한 잣대를 가지고 인생을 정리해 나가야만 한다. 자신이 현재 놓인 위치를 이해하고 해결할 문제를 찾아내서 ‘언어화’ 할 수 있는 능력, 즉 ‘메타인지’의 힘이 어느 때보다도 강력하게 요구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p.54 나만의 강점을 찾는 법

  • 나는 어떤 점에서 남에게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가?
  • 회사나 조직에서 정해준 업무 이외의 부분에서 감사하다는 말을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 주어진 일의 수행 외에 추가적인 역량을 어떻게 스스로 찾아내 정의할 것이며 어떻게 행동으로 연결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3장. 창의력

통념의 함정에서 벗어나 생각의 주도권 되찾기

p.82 그는 실패가 아니라 ‘예상과 현실이 달랐던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 실패를 ‘실패’로 간주하지 않는 관점이 ‘의지’에 달려있다.

p.104 일단은 현재 속해 있는 조직에 발을 걸친 채로 다양한 세계와 적극적으로 접촉해 볼 것

  • 회사가 아닌 다른 곳에서 누군가로부터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들어 볼 시간을 의식적으로 만들어보라.

4장. 인지력

반드시 문제 안에 해답이 있다.

p.132 ‘다른 사람으로 대체할 수 없는’ 존재가 되기를 목표로 삼을 것

  • 목표의 기준이 다른 사람인 것보다는 ‘나’를 뛰어넘는 것으로 설정하기로 했다.

p.133 ‘이 사람에게는 이런 강점이 있어’라고 주변에서 인정할 만한 자신만의 특색이 필요하다.

p.145 ‘상대를 기분 좋게 만들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또한 중요한 가치가 된다.

p.154 목표를 명확히 하라는 말의 함정

  • 이용자가 느끼는 문제나 과제는 시시각각 변화하므로 이에 지속적으로 대응할 능력도 갖춰야 한다.
  • ‘지속성’은 항시 변화하는 목적이나 목표에 대응하기 위해 떠오른 키워드
  • 목적이나 목표 또한 변화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자기 스스로도 항상 변화해야 한다는 사실은 너무나 자명하다.

p.157 우리는 살면서 마주하는 모든 문제를 하나의 ‘과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 ‘나는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라고 질문을 던지며 자신을 변화시킬 때 행복한 인생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리라.

p.161 해결이 어려워 보이는 고민을 안고 있다면 일단 그 고민에서 의식적으로 자신을 떨어뜨려 보라.

  • 내가 곤란에 처한 근본적인 이유는 뭐지?
  • 문제의 핵심은 뭘까?
  • 왜 지금과 같은 상황이 벌어진 걸까?
  • 이와같이 기존의 생각에서 벗어나기를 반복하면서 자신과 타인 사이의 공통항을 찾아가는 것이 메타인지다.

p.165 자기와는 전혀 무관해 보이는 일마저 자신의 과제로 받아들이도록 시점을 변화시킨다.

  • 어떤 과제를 자신의 일로 받아들이도록 상대를 납득시키는 설득력에 달렸다.

5장. 성과의 공식

바꾸고 연결하고 빛나게 하라.

p183. 트럭의 예를 들면 ‘많은 짐을 나른다’라는 목표를 명확히 한 후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개별 기능을 개발해야만 한다. 하지만 관리자의 방침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애매모호하면 일반 사원들은 갈피를 잃고 일을 제멋대로 처리하게 된다.

  • 본래의 목표와 완전히 동떨어진 결과가 나올 수 있다.
  • 문제는 모두가 맡은 바를 성실히 수행했다는 점이다. 사원들은 입을 모아 ‘우리 부서는 열심히 노력하는 중이다’ 라며 내부 기준에 안주해 버린다.
  • 훌륭한 관리자는 비즈니스의 목표를 바탕으로 현장을 조정한다.

p.192 사원에게는 어떤 과제가 요구되는가.

  • 사원은 먼저 자신이 ‘관리자의 시점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 ‘당신이 생각하는 바를 알려달라’라는 자세로 업무를 하게 된다.
  • 관리자가 보고 있는 세계에 대해서도 알려고 노력해보자.

6장. 네트워크 공식

시야를 확장하는 연결의 법칙

p.241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교류하는 사람은 스스로 깨닫지 못했던 사실을 지적받거나 새로운 내용을 배울 수 있다.

  • 열린 인간관계에서 얻은 정보나 깨달음은 개인의 성장을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된다.
  • 자신이 가진 정보나 식견 등을 상대방에게 적극적으로 ‘GIVE’하면 상대는 성장할 기회를 얻는다.

p.243 커뮤니티에서는 한 사람, 한 사람이 ‘기버’의 정신을 발휘해야만 한다.

p.247 타인이 실수를 하거나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Yes, but’ 화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그 방법 좋다. 이렇게 하면 더 좋을지도 몰라
  • ‘이 부분은 이렇게 하면 더 좋아질 거야’와 같이 상대의 의견을 먼저 긍정하며 ‘GIVE’를 시도해 보자.

p.249 직장이나 커뮤니티에서 좋은 인간관계를 만들기 위해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 바로 타인을 칭찬하는 것이다.
  • 상대의 말에 바로 “좋네요!” 라고 대답하는 것이다.

p.253 누구나 때로는 도무지 자신의 생각과 맞지 않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을 만나게 된다. 만약 그 사람이 매일 얼굴을 마주해야 하는 상사나 동료라면 조금 더 고도화된 관계의 기술이 필요하다.

  • 그중에서도 특히 ‘분노’의 감정을 잘 다룰 수 있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다름 아닌 메타인지다.
  •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해 보라.
    • ‘지금 다른 사람들 눈에 내가 화내는 모습이 어떻게 보일까?’
    • ‘또 다른 내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면 지금의 내게 긍지를 느낄까?’
  • 분노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은 ‘후회하지 않기’ 이다.
  • 분노관리란 “화낼 필요가 있는 일에는 능숙하게 화를 내고, 화낼 필요가 없는 일에는 화내지 않고 끝내는 것” 이라고 조언한다.

p.263 ‘상대방은 나의 의도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7장. 멘탈 관리의 공식

자신을 소모하지 않는 사람의 비밀

p.273 스트레스 잘 다스리며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을까

  • 저자는 다음의 기준을 명심하려고 한다고 한다.
  • 모든 일을 ‘재미있는가/재미있지 않은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p.298 내가 어떤 상태일 때 기분이 좋아지는지를 분석해 두는 일이 중요하다.

  • ‘스스로를 기분 좋게 만드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다.
  • 자신이 어떻게 시간을 보내야 가장 행복해지는지를 알아두는 것이다.

나가며

오직 당신만의 메타사고법을 찾아라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선택하며, 자신이 행복해질 수 있는 자세를 스스로 찾아나가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